반응형

BPS, PBR, EPS, PER, ROE에 대해 어려움이 있어서 한번 정리해보았습니다

 

순자산 = 자산 - 부채

 

 

 

 

BPS(Book - value Per Share) 주당 순 자산가치

 

BPS = 순자산 / 주식수

7만원  =    7백만원 / 100

 

BPS = 7만원이 되는것이다.

 

BPS가 높다는건 회사의 자산가치가 높다는 뜻이다 즉 높으면 좋다라고 할수있다.

 

 

 

PBR(Price Book - value Ratio) 주가 순자산 비율

 

PBR = 현재 주가 / BPS(주당 순자산)

0.71(PBR) = 5만원 / 7만원(BPS)

 

PBR = 0.71

 

PBR 낮으면 저평가된 기업이라고 생각할수 있습니다.

 

 

 

EPS(Earning Per Share) 주당 순이익

 

EPS = 당기순이익 / 발행주식수

 

당기순이익이란?

 

라면가게에서 라면 한그릇(5,000원)을 팔면 매출액은 5,000원이다.

매출액 = 라면값

매출액 - 원가 =매출이익

매출이익 - 전기료, 가스값, 인건비 등 = 영업이익

영업이익 - 금용비용, 영업외손익 = 경상이익

금용비용이란 부채에대한 이자라고 생각하면 쉽다.

경상이익- 법인세 =당기순이익(1년간의 순이익)

 

EPS가 높다는 것은 주당 순이익이 높다는 뜻이고 회사가 돈을 많이 번다는 뜻이다

회사가 크니 무조건 큰 회사, 대기업이 높지 않나?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발행 주식 수의 차이 때문에 오히려 적은 경우가 있다. 

 

 

 

 

PER(price Earning Ratio)주가 수입비율

 

PER = 주가 / EPS(주당 순이익)

 

PER은 현재 주가를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값이다.

현재 주가가 5만원이고 주당순이익이 2만5천원이면 PER은 2배이다.

PER이 높다는건 주가가 그만큼 높다는 뜻이고 고평가 되고있다는 뜻이다 

 

 

 

 

ROE(Return On Equity) 자기자본 이익율

 

ROE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100

 

예) F라는 회사의 자기자본이 30억이고 당기순이익이 10억이고

    G라는 회사는 자기자본이 30억이고 당기순이익이 1억이다.

 

F회사의 ROE = 10 / 30 * 100 = 33%

G회사의 ROE = 1 /30 *100 = 3%

ROE가 높다는 말은 "이정도의 자본으로 이만큼 벌었다"라고 할수있다.

 

 

Other.

 

총자산 = 자산총계

순자산 = 자본총계

반응형
반응형

 

첨부파일

 

Queue.txt

 

 

 

실행 화면

 

 

 

 

부족한 부분이나 추가해 주었으면 하는 것이 있으면

댓글 달아주십시오.

반응형
반응형

 

 

컴퓨터 관련 블로그를 쓰시거나 할 때 소스코드를 편하게 블로그에 올릴 수 있는 웹사이트를 추천해드리겠습니다

 

 

저두 이용하고 있는데요.

 

예)

 

1
2
3
4
5
6
#include<stdio.h>
int main(){
    printf("Hello Word");
    return 0:
}
 
cs

 

 

 

 

 

 

 

 

 

이런 식으로 옮길 수 있습니다.

 

 

 

 

 

 

Color Scripter 입니다.

 

 

 

 

 

원하시는 언어 선택해 주시구요

 

 

 

 

 

원하는 스타일, 배경 세부 설정하실수 있습니다.

 

원하시는 언어가 없으시다면 >> 확장 스토어를 참고 해주세요

 

주의) 소스코드에 색이 안 입혀지신다면 실시간 하이라이팅 체크 해주시면 됩니다

 

 

링크: Color Scripter

 

Other

 

링크: http://hilite.me/

 

반응형

'Oth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역대 관객 순위  (0) 2018.02.04
스팀(Steam) 문화상품권 결제  (0) 2017.08.19
스타크래프트 무료로 받는법  (0) 2017.08.13
C언어 큐(Queue) 자료구조  (0) 2017.03.20
C언어 스택(Stack) 자료구조  (0) 2016.12.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