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acheClip

 

CacheClip 폴더란?


CacheClip 폴더는 비디오 편집, 특히 DaVinci Resolve와 같은 프로그램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 폴더는 편집 과정 중에 빠른 액세스와 재생을 위해 사전 렌더링된 비디오 클립을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렌더링 캐시 파

일을 담고 있으며, 캐시 파일은 편집 작업의 속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한편, 편집 시 작업물이 많아질수록 상당한 양의 디스

크 공간을 차지할 수 있습니다.

 

CacheClip 폴더의 내용을 삭제하는 것은 디스크 공간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렌더링 된 클립을 다시 생성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느려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프로젝트가 완료되었거나 캐시 된 파일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경우, 이 폴더를 비우는 것이 안전합니다.

 

결론

 

편집 작업이 끝났고 진행 중이었던 작업을 더 사용할 일이 없으면 폴더 자체를 날려도 상관없지만 작업을 해야 하거나 진행 중이면 작업이 마무리될 때까지 두시는 걸 추천합니다.

 


 

CacheClip 경로 변경

 

계속 편집해야 하며 C드라이브에 용량이 없을 경우 CacheClip 경로를 변경하여 작업을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다빈치 리졸브에서 File 탭에 Project Settings을 클릭해 줍니다.

 

 

Project Settings 창에서 -> Master Settings -> 밑으로 스크롤 내리면 Working Folders에 Cache files location 부분에서 Browse를 클릭해 원하는 경로로 옮겨주면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용량이 부족해 보면 C:\Windows\System32\DriverStore\FileRepository 폴더가 용량을 많이 차지하고 있을 겁니다. 

FileRepository

핵심

FileRepository는 드라이버를 업데이트하는 동안 이전 드라이버를 이 폴더에 저장하며 새로 설치한 드라이버가 문제있어 전 드라이버로 돌아갈 때 다시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그냥 지우는 방법도 있지만 안전성이 떨어집니다. 이럴때 유용하게 유틸을 통해서 파일을 정리하면 됩니다.

 

https://github.com/lostindark/DriverStoreExplorer/releases/tag/v0.11.92

 

Release DriverStore Explorer v0.11.92 · lostindark/DriverStoreExplorer

Add support for extension id and improve logging. Update dependency packages. Turkish Language.

github.com

DriverStoreExplorer.v0.11.92.zip 압축 파일을 받아 압축을 풉니다.

 

Rapr.exe 클릭하여 실행한다.

 

언어 설정을 들어가면 한국어도 지원해 준다.

사이즈 속성을 눌러 높은 순으로 정렬해 본다.

 

그래픽 드라이버 버전이 낮은 버전은 삭제를 해서 용량을 확보합니다. 보면 동일한 이름에 버전이 종류별로 있으면 옛날 버전은 삭제해서 용량을 확보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광케이블이란?

광케이블이란 광섬유를 이용한 케이블이며 전기신호가 아닌 빛에 의한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섬유 케이블입니다. 이 광케이블은 전기신호로의 데이터 전송에 비해 속도가 빠르고 대역폭이 크기 때문에 인터넷, 통신망, 방송 광대역 데이터 전송 등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림1) sc sc OJC

보통 그림 1) 광케이블이라 생각하지만 정확히는 광점퍼코드(OJC)라고 한다

 

광케이블의 장단점

 

장점

전송 거리: 광섬유가 전달하는 신호는 증폭이 필요 없기 때문에 더 멀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대역폭: 넓은 대역폭을 제공한다. 이는 빠르고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가능케 하며 대역폭의 큰 범위는 테이터 전송 시 높은 퍼포먼스와 적은 데이터 손실을 보장합니다. 

전자기 간섭: 전기적인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선 강한 전자기 간섭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더욱 안정적인 전송을 제공합니다. 
  
단점

유지보수: 선로 중간에 선에 문제있을시 찾기가 어렵우며(OTDR 장비를 통해  문제 있는 선로 부분을 찾을 수 있다.) 절단된 부분을 연결하려면 전용 장비를 통해 융합접속을 해야 한다

 

 

OTDR

 

OTDR

OTDR은 광케이블 오차 검출 계측기 (Optical Time-Domain Reflectometer)의 약자로, 광케이블로 전송된 빛이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광섬유의 손실 및 이상을 감지하는 측정기기입니다. 

 

 

선로구성의 예

한 선로구성의 예를 들어보면

 

광케이블 -> 피그테일 접속 -> ofd-> ojc -> 장비로 구성된다.  

 

 

피그테일

 

피그테일은 OJC와 비슷한데 한쪽에는 커넥터가 없는 선을 말한다.

 

반응형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토콜(Protocol)이란? 짧고 쉽게 이해하기  (0) 2019.09.09

+ Recent posts